top of page

유재미 작가는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한 이후 일러스트 작가, 패션 디자이너로활동해왔다. 그는 유년시절을 미국에서 보낸 후 한국에서 성장하였고, 다시 돌아간 미국에서 낯선 언어와 문화 안에서 새로이 소통하는 법을 익혔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의 정체성과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시작하였고, 언어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시각적 언어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

학업을 마친 후 그는일러스트 작가로 활동하며 그만의 시각적 언어를 발전시켰으며,

이후 패션 디자이너로서 또 다른 형태의 시각적 소통을 위해창작자의 의도, 사용자와 창작물의 관계, 그리고 물성에 대하여 고찰하게 된다. 색감과 소재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기능, 분위기, 느낌 등에 대한 흥미와 고민은 현재까지 이어지며 그만의 시각적 언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중립적 시선으로 관기찰된 시각적, 지각적 관계들 사이에서만들어지는 서사는 작가 자신의 이야기, 관람자의 이야기, 혹은 우리와 함께 현재를 살아가는 또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 일 수도 있다. 작가의 화폭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오브제들은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한, 보다 더 적극적인 소통의 역할을 갖는 시각적 매개체이며,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 속의 다양한 감정과 이야기의 전달자들이다. 어린아이와 유사한 모습이지만 과장되고 기형적인 비율로 형상화된 캐릭터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 희망, 호기심과 같은 우리의 내면을 상징한다.

특히, 지나치게 큰 눈은 작가가 한국과 미국에서 각기 경험했던 대화 예절 속 눈맞춤과 그 인식의 차이를 반영한 것이다. 눈은 감정을 표현하는 매개체로써 사회적 동물인 우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타자와 끊임없이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의 상징이다

Artist Yoo Jaemi has been an illustrator and fashion designer since majoring in illustration at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He grew up in Korea after spending his childhood in the U.S., and learned to communicate anew in unfamiliar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U.S. that returned. In this process, he began to examine his identit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focused more on visual language tha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fter completing his studies, he developed his own visual language as an illustrator, and later as a fashion designer, he examines the creator's intentions, user-creative relationships, and physical properties for another form of visual communication. Interests and concerns about functions, atmosphere, and feelings that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colors and materials have continued to this day and function as their own visual language.

 

The narrative created between visual and perceptual relationships observed with a neutral eye may be the writer's own story, the viewer's story, or another person living in the present with us. The characters and objects in the artist's canvas are visual media that play a more active role in communication to elicit sympathy from the audience, and are the carriers of various emotions and stories in our lives living in the present. Characters that look similar to children but are shaped in exaggerated and deformed proportions symbolize our inner selves, such as human instinctive desires, hopes, and curiosity that do not disappear even after adulthood.

 

In particular, the excessively large eyes reflect the difference in eye contact and perception in conversation manners that the writer experienc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The eye is a medium for expressing emotions and is a symbol of the desire to constantly communicate with the other person we inevitably face as social animals.

유재미Christine J. Yoo

 

Professional Experiences

 

 

▪Hansae. ’16 – ’19, Yoido, Seoul, Korea

R&D Garment/Textile/Graphic Designer
Responsible for Seasonal trend research, flat sketch & TP garment sample developments & modifications, and trend suggestions. Original artwork developments & suggestions. development sample archive & fabric sample archive organization.

 

▪Nobland international  ’14-’16, Songpa-gu, Seoul, Korea

R&D Textile/Graphic Designer
Responsible for trend researching and developing textile print graphics/ embroidery artwork/ embellishment designs.
-Providing CAD artworks, Seasonal Graphic Trend book creation, and other graphic support as needed.
-Maintaining development design library and market sample archive.
-DTP (digital textile printing) for textile development presentation.
 

▪Freelance Graphic Designer and Illustrator ’12-’15
English Hound: Logo, enbelope, businesscard, letterhead design, and translation from English to Korean. LunatiCK Cosmetic Labs: Cosmetic packaging design and illustration / Korean Film Council (KOFIC): Banner and illustration / Children’s book (the Wacky Winter on Wiggly Way): illustration ,book, ads, and banner design.

 

▪Décor Craft Inc. ’13-’14, Providence, RI

Designer and Illustrator

Consumer product and packaging design solutions for DCI products.
Design responsibilities included hand sketching, clay model making, hand/digital illustration, surface pattern making for application on products, packaging development and product design, photo retouching, assisting with photography, and creating mockups for trade shows.

▪한새. '16 – '19, 여의도, 서울, 한국

R&D 의류/섬유/그래픽 디자이너

계절 트렌드 연구, 플랫 스케치 및 TP 의류 샘플 개발 및 수정, 트렌드 제안을 담당합니다. 독창적인 작품 개발 및 제안. 개발 샘플 아카이브 및 패브릭 샘플 아카이브 조직.

 

▪노블랜드 인터내셔널 '14-'16, 서울 송파구

R&D 섬유/그래픽 디자이너

텍스타일 프린트 그래픽/자수 아트웍/장식 디자인의 트렌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합니다.

- CAD 아트워크 제공, 계절별 그래픽 트렌드북 제작 및 기타 그래픽 지원 필요에 따라 제공

- 개발 설계 라이브러리 및 시장 샘플 아카이브를 유지 관리합니다.

-섬유 개발 프레젠테이션용 DTP(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프리랜서 그래픽 디자이너 및 일러스트레이터 '12-'15

English Hound: 로고, 봉투, 명함, 레터헤드 디자인 및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 LunatiCK Cosmetic Labs: 화장품 포장 디자인 및 일러스트레이션 / 영화진흥위원회(KOFIC): 배너 및 일러스트레이션 / 아동도서(Wacky Way on Wiggly Way): 일러스트레이션, 책, 광고 및 배너 디자인.

 

▪Décor Craft Inc. '13-'14, 프로비던스, RI

디자이너 및 일러스트레이터

DCI 제품을 위한 소비자 제품 및 포장 디자인 솔루션.

디자인 책임에는 손 스케치, 점토 모델 만들기, 손/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표면 패턴 만들기, 포장 개발 및 제품 디자인, 사진 수정, 사진 지원, 무역 박람회용 모형 제작이 포함되었습니다.

bottom of page